메뉴

국민대학교 경상대학

국민인! 국민인!!

나노 과학 분야 세계적 권위 학술지 게재/ 김재혁(일반대학원 화학과 석사과정 24) 학생

국민대학교 (총장 정승렬) 일반대학원 화학과 김재혁 석사과정(지도교수 김영훈)이 제1저자로 참여한 논문“Dimensional tunability in SN2-based synthesis of CsPbI3 perovskite nanocrystals via regulating lattice-forming behavior of surface ligands”이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나노 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Nano Research (IF:9.0, JCR 상위 13.1%)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CsPbI3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의 차원(2D~3D)과 표면 특성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합성 전략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SN2 기반 열상승 반응에서 올레산(OA)과 올레아민(OLA)의 화학 반응 경로를 정밀하게 조절해, 나노플레이트부터 나노큐브까지 구조를 자유롭게 바꾸고 색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데 성공했다. 뿐만 아니라, OAM+–I– 쌍을 활용한 후처리를 통해 표면 결함을 줄이고 광발광 효율을 71.9%에서 81.7%로 향상시켰다.

 

이번 성과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와 광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자 수준에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향후 고효율 LED,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등 광전자소자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1저자로서 이번 연구를 주도적으로 수행한 김재혁 학생은“앞으로 더 높은 수준의 연구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제목 나노 과학 분야 세계적 권위 학술지 게재/ 김재혁(일반대학원 화학과 석사과정 24) 학생 작성자 김은지
작성일 25.10.28 조회수 186
첨부파일 김재혁 학생.jpg (91.1 KB) 구분 학부공지

국민대학교 (총장 정승렬) 일반대학원 화학과 김재혁 석사과정(지도교수 김영훈)이 제1저자로 참여한 논문“Dimensional tunability in SN2-based synthesis of CsPbI3 perovskite nanocrystals via regulating lattice-forming behavior of surface ligands”이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나노 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Nano Research (IF:9.0, JCR 상위 13.1%)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CsPbI3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의 차원(2D~3D)과 표면 특성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합성 전략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SN2 기반 열상승 반응에서 올레산(OA)과 올레아민(OLA)의 화학 반응 경로를 정밀하게 조절해, 나노플레이트부터 나노큐브까지 구조를 자유롭게 바꾸고 색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데 성공했다. 뿐만 아니라, OAM+–I– 쌍을 활용한 후처리를 통해 표면 결함을 줄이고 광발광 효율을 71.9%에서 81.7%로 향상시켰다.

 

이번 성과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와 광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자 수준에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향후 고효율 LED,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등 광전자소자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1저자로서 이번 연구를 주도적으로 수행한 김재혁 학생은“앞으로 더 높은 수준의 연구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