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국민대학교 경상대학

국민인! 국민인!!

국제학술대회 KJF-ICOMEP 2015 Excellent Poster Presentation 수상 /김용명(대학원 신소재공학과 14학번)

  • 15.09.14 / 박차현

국민대학교 대학원 신소재공학과 김용명 대학원생(지도교수 : 이현정)이 국제학술대회 2015 KJ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Organic Materials for Electronics and Photonics (KJF-ICOMEP 2015) 로부터 1저자로 우수 포스터 상을 수상했다.

포스터 상을 수상한 논문의 제목은 ‘Morphological Control in Polymeric Colloidal Templating of Inverse Opal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이다.

이 연구는 광결정 구조가 가지는 특정 파장 영역의 빛을 반사하는 structure bandgap과 특정 파장 영역의 빛이 내부를 느리게 지나가는 slow light effect라는 특성을 이용하여 태양전지의 광전극에 응용한 연구이다. 광결정 구조 중에서도 3차원 구조인 역오팔 구조를 슬라이드 코팅법을 이용하여 매우 빠르며, 두께 조절이 쉬우며, 기판과의 접촉력이 뛰어난 역오팔 구조의 필름을 만드는 기술력이 특징이다. 광결정 구조가 가지는 구조적인 단점인 상대적인 표면적 감소를 270nm의 구멍 속에 또 다른 나노 구조체를 만들어 극복하고 구멍 속 나노 구조체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 생성 할 수 있는 점과 이를 통해서 광결정 태양전지의 특성을 1.5배 이상 끌어올려 학계의 인정을 받아 수상하게 되었다.

김용명 대학원생은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졸업하고, 본교 대학원 신소재공학과에 진학 후 이현정 교수 연구실에서 석사과정을 진행 중이다.
이현정교수 연구실 (나노하이브리드 연구실, http://hybrid.kookmin.ac.kr)에서는 유/무기/복합재료를 기반으로 가볍고 공정이 간편한 기능성 유연 신소재를 연구·개발하여 태양광, 폐열 등을 통해 친환경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차세대 플렉서블 에너지 소자를 개발중이다. 

제목 국제학술대회 KJF-ICOMEP 2015 Excellent Poster Presentation 수상 /김용명(대학원 신소재공학과 14학번) 작성자 박차현
작성일 15.09.14 조회수 7037
첨부파일 구분 학부공지

국민대학교 대학원 신소재공학과 김용명 대학원생(지도교수 : 이현정)이 국제학술대회 2015 KJ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Organic Materials for Electronics and Photonics (KJF-ICOMEP 2015) 로부터 1저자로 우수 포스터 상을 수상했다.

포스터 상을 수상한 논문의 제목은 ‘Morphological Control in Polymeric Colloidal Templating of Inverse Opal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이다.

이 연구는 광결정 구조가 가지는 특정 파장 영역의 빛을 반사하는 structure bandgap과 특정 파장 영역의 빛이 내부를 느리게 지나가는 slow light effect라는 특성을 이용하여 태양전지의 광전극에 응용한 연구이다. 광결정 구조 중에서도 3차원 구조인 역오팔 구조를 슬라이드 코팅법을 이용하여 매우 빠르며, 두께 조절이 쉬우며, 기판과의 접촉력이 뛰어난 역오팔 구조의 필름을 만드는 기술력이 특징이다. 광결정 구조가 가지는 구조적인 단점인 상대적인 표면적 감소를 270nm의 구멍 속에 또 다른 나노 구조체를 만들어 극복하고 구멍 속 나노 구조체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 생성 할 수 있는 점과 이를 통해서 광결정 태양전지의 특성을 1.5배 이상 끌어올려 학계의 인정을 받아 수상하게 되었다.

김용명 대학원생은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졸업하고, 본교 대학원 신소재공학과에 진학 후 이현정 교수 연구실에서 석사과정을 진행 중이다.
이현정교수 연구실 (나노하이브리드 연구실, http://hybrid.kookmin.ac.kr)에서는 유/무기/복합재료를 기반으로 가볍고 공정이 간편한 기능성 유연 신소재를 연구·개발하여 태양광, 폐열 등을 통해 친환경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차세대 플렉서블 에너지 소자를 개발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