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국민대학교 경상대학

언론속의 국민

[한마디] 대형 유통업체 지방진출 막지마라 / 이수동(경영)교수

  • 03.12.10 / 留ㅺ꼍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에 따른 시행령 개정안이 발표되면서 유통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번 개정안의 주요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지역 주민 50명 이상의 이의 제기가 있으면 유통분쟁조정위원회를 설치해 할인점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 신규 출점을 위한 신축시 입지 선정, 매장 규모, 교통 혼잡, 소음 진동, 대기 수질오염 등의 문제를 다루게 하고, 그 비용은 해당 지자체와 유통업체가 반반씩 분담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 시행령이 통과되면 내년 1월 말부터그 효력을 발휘하게 된다.

개정안이 작성된 취지 또는 목적은 지역 상권을 보호하고 중소 상인의 권익을보호하겠다는 것임을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실제로 전국 각지의 상공인 단체나지역 NGO 등에서 대형 유통업체의 지역 출점을 제한해 달라는 건의서를 산업자원부에 제출해 왔으며, 일부 지방에서는 대형점 출점을 직간접으로 제한하는조례 및 행정조치를 취하기도 하였다.

실제로 지자체의 각종 규제로 출점이 지연되거나 심지어 출점을 포기하는 사례도 여럿 있는데 이 시행령이 효력을 발휘하면 그 파급은 더욱 클 것으로 생각된다.

대형 유통점 출점이 영세 상인의 몰락을 가져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지역토착 상권이 위축될 수 있음도 무시할 수 없다. 그러나 유통 부문의 대형화ㆍ산업화에 따른 부가가치 창출이나 사회적 비용 감소, 경제 순환의 속도 증가등과 같은 순기능은 이와는 비교할 수 없는 크기로 국민 대다수의 생활문화를현저히 향상시키고 소비생활의 수준과 편의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계기가된다.

대형 유통점의 지역 출점은 그 동안 유통망을 확보하지 못해 좋은 사업기회를무산시킬 수밖에 없었던 경쟁력 있는 지역 중소 제조업체에도 기회가 될 것이다.

일부에서는 대형 할인점 등이 이미 포화 상태에 와 있기 때문에 출점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는데 개인적으로는 대형점 출점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고 보지 않는다. 우리나라는 기업형 유통 대 생계형 유통 비중이 3대7 정도인데, 선진국은 이 비율이 거꾸로 7대3이다.

포화 상태가 아니라 더 출점할 여지가 있으며, 규제가 아니라 오히려 더 발전할 수 있도록 기반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아직도 우리나라의 유통산업은 경제규모나 국제기준에 비추어 볼 때 낙후되어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유통산업 비중이 우리는 11% 수준인데 선진 제국은 대개 17% 수준인 것이 이를 방증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이리 낙후된 원인이어쩌면 그 동안 너무 영세 상업을 보호하려 해온 탓이 아닌가 생각하게 되는것이다.

유통문제를 경제논리만이 아닌 다른 사회적 논리를 곁들여서 해결해야 한다는주장과 접근에도 일견 어느 정도의 타당성이 있을 것이라는 이해는 하고 있다.그러나 역시 이 문제는 경제논리로 접근해야 옳다고 본다.

<이수동 국민대 교수>

제목 [한마디] 대형 유통업체 지방진출 막지마라 / 이수동(경영)교수 작성자 留ㅺ꼍
작성일 03.12.10 조회수 10531
첨부파일 구분 학부공지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에 따른 시행령 개정안이 발표되면서 유통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번 개정안의 주요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지역 주민 50명 이상의 이의 제기가 있으면 유통분쟁조정위원회를 설치해 할인점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 신규 출점을 위한 신축시 입지 선정, 매장 규모, 교통 혼잡, 소음 진동, 대기 수질오염 등의 문제를 다루게 하고, 그 비용은 해당 지자체와 유통업체가 반반씩 분담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 시행령이 통과되면 내년 1월 말부터그 효력을 발휘하게 된다.

개정안이 작성된 취지 또는 목적은 지역 상권을 보호하고 중소 상인의 권익을보호하겠다는 것임을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실제로 전국 각지의 상공인 단체나지역 NGO 등에서 대형 유통업체의 지역 출점을 제한해 달라는 건의서를 산업자원부에 제출해 왔으며, 일부 지방에서는 대형점 출점을 직간접으로 제한하는조례 및 행정조치를 취하기도 하였다.

실제로 지자체의 각종 규제로 출점이 지연되거나 심지어 출점을 포기하는 사례도 여럿 있는데 이 시행령이 효력을 발휘하면 그 파급은 더욱 클 것으로 생각된다.

대형 유통점 출점이 영세 상인의 몰락을 가져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지역토착 상권이 위축될 수 있음도 무시할 수 없다. 그러나 유통 부문의 대형화ㆍ산업화에 따른 부가가치 창출이나 사회적 비용 감소, 경제 순환의 속도 증가등과 같은 순기능은 이와는 비교할 수 없는 크기로 국민 대다수의 생활문화를현저히 향상시키고 소비생활의 수준과 편의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계기가된다.

대형 유통점의 지역 출점은 그 동안 유통망을 확보하지 못해 좋은 사업기회를무산시킬 수밖에 없었던 경쟁력 있는 지역 중소 제조업체에도 기회가 될 것이다.

일부에서는 대형 할인점 등이 이미 포화 상태에 와 있기 때문에 출점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는데 개인적으로는 대형점 출점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고 보지 않는다. 우리나라는 기업형 유통 대 생계형 유통 비중이 3대7 정도인데, 선진국은 이 비율이 거꾸로 7대3이다.

포화 상태가 아니라 더 출점할 여지가 있으며, 규제가 아니라 오히려 더 발전할 수 있도록 기반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아직도 우리나라의 유통산업은 경제규모나 국제기준에 비추어 볼 때 낙후되어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유통산업 비중이 우리는 11% 수준인데 선진 제국은 대개 17% 수준인 것이 이를 방증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이리 낙후된 원인이어쩌면 그 동안 너무 영세 상업을 보호하려 해온 탓이 아닌가 생각하게 되는것이다.

유통문제를 경제논리만이 아닌 다른 사회적 논리를 곁들여서 해결해야 한다는주장과 접근에도 일견 어느 정도의 타당성이 있을 것이라는 이해는 하고 있다.그러나 역시 이 문제는 경제논리로 접근해야 옳다고 본다.

<이수동 국민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