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국민대학교 경상대학

언론속의 국민

땅투기 보고 있자니, 공부한 게 허망할 뿐이다 / 김도현(경영학부) 교수

 

세종시 연서면 스마트국가산업단지 개발 예정 부지. 뉴시스


인간은 호기심이 많은 존재입니다. 지나치면 화를 불러일으킨다지만, 뭔가 알고 싶다는 욕망이야말로 인류의 삶을 진보시켜 온 큰 동력임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현대인들에게 '앎'의 가장 대표적인 수단은 물론 검색이겠습니다만, 역사적으로 거의 모든 인간이 익혀온 '앎'의 대표적 방법은 공부였습니다. 이 제도화된 공부의 끝에는 박사학위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뭔가 깊이 알고, 심지어 새로운 지식을 만들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마련된 고리타분한 장치입니다. 공부에 대한 섣부른 욕심 탓에 저는 전혀 다른 분야에서 두개의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학생으로 보낸 시간이 무려 이십칠 년이나 되니 호기심의 대가는 미련하게도 긴 시간이었던 셈입니다. 

 

하지만 그리 긴 시간을 쓰지 않고도 금방 뭔가 알아내는 천재들이 세상에는 많습니다. 영민하지 못한 저 같은 이들을 그저 부럽게 만드는 이들입니다. 펜실베이니아대학 수학과에는 아드리안 오세아누라고 하는 루마니아 태생의 교수가 있습니다. 이 분이 제가 아는 한, 세계에서 박사학위를 가장 빨리 취득한 분입니다. 오세아누는 고등학교 때부터 세계 수학올림피아드를 휩쓴 천재로 유명했는데, 대학 3학년때 영국에서 열린 국제수학학회에 참석했다가 영국 명문대학의 교수 한 분과 대수학에 대한 담소를 나누게 되었습니다. 발코니에서 커피를 손에 들고 가볍게 시작한 대화는 세 시간이 넘게 이어졌고, 그의 이야기에 탄복한 교수는 만약 이 대화를 논문으로 일목요연하게 쓸 수 있다면 박사학위를 줄 수도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대학생 오세아누는 그 뒤 24시간 동안 쉬지 않고 논문을 작성했고, 그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논문심사는 즉시 통과했지만, 대학의 행정절차가 열흘 걸려서 학위를 받는 데 걸린 시간은 총 열하루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 결과 오세아누 교수에게는 대학졸업장이 없습니다. 학부 재학 중 박사학위를 받았으니까요. (물론 지금보다 대학이 좀 더 낭만적이던 80년대 이야기입니다). 오세아누 교수는 지금도 현직에서 좋은 논문을 쓰고 있고, 수업시간에 노래를 부르거나 조각을 만드는 등의 독특한 교수법으로도 아주 유명합니다. 
 

  부러운 일화입니다. 하지만 공부는 저 같은 둔재에게조차 강력한 배움의 기쁨을 허락합니다. 그래서 저는 가끔 방문을 굳게 걸어 잠그고 혼자 공부만 하는 상상을 해보곤 합니다. 복잡한 인연들에 얽힌 50대 가장에게는 쉽게 이루기 어려운, 달콤한 꿈입니다. 

 

달콤한 꿈에서 깨어나 뉴스를 봅니다. 어리둥절한 뉴스가 매일 쏟아집니다. 어디가 신도시로 개발될 것이라는 정보는 미리 알 도리가 없었고, 길도 없는 맹지나 그린벨트를 사는 것이 큰 이익이 될 투자라는 점도 몰랐으며, 농사 지을 땅이라고 거짓으로 신고해도 별 탈이 없다는 점도 알지 못했습니다. 땅에 나무를 촘촘히 심는 것이 보상을 위한 것이라는 소식도 신기합니다. 그리고 그런 정보들을 알지 못했을 뿐 아니라, 이런 정보를 가지고 돈을 버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는 공직자들이 세상에 많다는 사실도 까맣게 몰랐습니다. 세상엔 모르는 일이 이토록 많습니다. 남보다 공부를 좀 더 했다고 내심 우쭐거리던 마음이 갑자기 민망해집니다. 오세아누 교수 같은 천재도 이런 건 몰랐을 거라는 생각으로 위안을 삼아봅니다. 하지만 오랜 공부, 속절없이 허망한 일이군요. 

 


김도현 국민대 경영학부 교수

 

 


※ 게재한 콘텐츠(기사)는 언론사에 기고한 개인의 저작물로 국민대학교의 견해가 아님을 안내합니다.

※ 이 기사는 '뉴스콘텐츠 저작권 계약'으로 저작권을 확보하여 게재하였습니다.

제목 땅투기 보고 있자니, 공부한 게 허망할 뿐이다 / 김도현(경영학부) 교수 작성자 박윤진
작성일 21.03.17 조회수 262
첨부파일 untitled.png (301.8 KB) a.jpg (13.5 KB) 구분 학부공지

 

세종시 연서면 스마트국가산업단지 개발 예정 부지. 뉴시스


인간은 호기심이 많은 존재입니다. 지나치면 화를 불러일으킨다지만, 뭔가 알고 싶다는 욕망이야말로 인류의 삶을 진보시켜 온 큰 동력임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현대인들에게 '앎'의 가장 대표적인 수단은 물론 검색이겠습니다만, 역사적으로 거의 모든 인간이 익혀온 '앎'의 대표적 방법은 공부였습니다. 이 제도화된 공부의 끝에는 박사학위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뭔가 깊이 알고, 심지어 새로운 지식을 만들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마련된 고리타분한 장치입니다. 공부에 대한 섣부른 욕심 탓에 저는 전혀 다른 분야에서 두개의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학생으로 보낸 시간이 무려 이십칠 년이나 되니 호기심의 대가는 미련하게도 긴 시간이었던 셈입니다. 

 

하지만 그리 긴 시간을 쓰지 않고도 금방 뭔가 알아내는 천재들이 세상에는 많습니다. 영민하지 못한 저 같은 이들을 그저 부럽게 만드는 이들입니다. 펜실베이니아대학 수학과에는 아드리안 오세아누라고 하는 루마니아 태생의 교수가 있습니다. 이 분이 제가 아는 한, 세계에서 박사학위를 가장 빨리 취득한 분입니다. 오세아누는 고등학교 때부터 세계 수학올림피아드를 휩쓴 천재로 유명했는데, 대학 3학년때 영국에서 열린 국제수학학회에 참석했다가 영국 명문대학의 교수 한 분과 대수학에 대한 담소를 나누게 되었습니다. 발코니에서 커피를 손에 들고 가볍게 시작한 대화는 세 시간이 넘게 이어졌고, 그의 이야기에 탄복한 교수는 만약 이 대화를 논문으로 일목요연하게 쓸 수 있다면 박사학위를 줄 수도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대학생 오세아누는 그 뒤 24시간 동안 쉬지 않고 논문을 작성했고, 그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논문심사는 즉시 통과했지만, 대학의 행정절차가 열흘 걸려서 학위를 받는 데 걸린 시간은 총 열하루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 결과 오세아누 교수에게는 대학졸업장이 없습니다. 학부 재학 중 박사학위를 받았으니까요. (물론 지금보다 대학이 좀 더 낭만적이던 80년대 이야기입니다). 오세아누 교수는 지금도 현직에서 좋은 논문을 쓰고 있고, 수업시간에 노래를 부르거나 조각을 만드는 등의 독특한 교수법으로도 아주 유명합니다. 
 

  부러운 일화입니다. 하지만 공부는 저 같은 둔재에게조차 강력한 배움의 기쁨을 허락합니다. 그래서 저는 가끔 방문을 굳게 걸어 잠그고 혼자 공부만 하는 상상을 해보곤 합니다. 복잡한 인연들에 얽힌 50대 가장에게는 쉽게 이루기 어려운, 달콤한 꿈입니다. 

 

달콤한 꿈에서 깨어나 뉴스를 봅니다. 어리둥절한 뉴스가 매일 쏟아집니다. 어디가 신도시로 개발될 것이라는 정보는 미리 알 도리가 없었고, 길도 없는 맹지나 그린벨트를 사는 것이 큰 이익이 될 투자라는 점도 몰랐으며, 농사 지을 땅이라고 거짓으로 신고해도 별 탈이 없다는 점도 알지 못했습니다. 땅에 나무를 촘촘히 심는 것이 보상을 위한 것이라는 소식도 신기합니다. 그리고 그런 정보들을 알지 못했을 뿐 아니라, 이런 정보를 가지고 돈을 버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는 공직자들이 세상에 많다는 사실도 까맣게 몰랐습니다. 세상엔 모르는 일이 이토록 많습니다. 남보다 공부를 좀 더 했다고 내심 우쭐거리던 마음이 갑자기 민망해집니다. 오세아누 교수 같은 천재도 이런 건 몰랐을 거라는 생각으로 위안을 삼아봅니다. 하지만 오랜 공부, 속절없이 허망한 일이군요. 

 


김도현 국민대 경영학부 교수

 

 


※ 게재한 콘텐츠(기사)는 언론사에 기고한 개인의 저작물로 국민대학교의 견해가 아님을 안내합니다.

※ 이 기사는 '뉴스콘텐츠 저작권 계약'으로 저작권을 확보하여 게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