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국민대학교 경상대학

언론속의 국민

[기고] 디지털 신기술 인재 10만 양성을 위한 혁신공유대학 / 임홍재 총장

미래자동차는 기존의 단순한 이동수단을 넘어 친환경 전동화, 스마트 자율주행, 모빌리티 공유 기술을 바탕으로 각 분야가 서로 긴밀하게 초연결되는 미래 사회 구현을 가능케 하는 첨단산업 분야다. 기계 중심의 하드웨어뿐 아니라 전기·전자, 정보통신, 소프트웨어, 재료, 인간공학, 교통, 디자인, 경영, 법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문 간 융합이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산업구조가 재편되며 미래자동차를 비롯해 인공지능, 빅데이터, 차세대 반도체 등 신산업 분야 인재 수요도 늘고 있다. 정부의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은 여러 대학에 흩어진 신기술 분야 교육자원을 공동 활용하고 산업체·연구기관·학회·민간기관 등이 참여해 국가 수준의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것으로, 2021년부터 6년간 신기술 분야 핵심 인재 10만명 양성이 목표다.

 


임홍재 국민대 총장


이 사업이 성공하려면 기존 대학 사회가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과 제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신산업분야별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한 교과목을 표준화하면서 개별 대학이 갖는 인적·물적 한계를 다른 대학들의 강점으로 상호 보완할 수 있어야 한다. 교과목별 우수 콘텐츠를 공동 개발해 공유하고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온라인 콘텐츠 개발 및 교육 방법 개선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

 

둘째, 학사제도 운영의 유연성이 보다 폭넓게 보장되어야 한다. 혁신공유사업을 시작하면서 국립대와 사립대의 차이를 포함해 대학별 규정 및 제도가 달라 의견을 모으기가 쉽지 않았다. 참여 대학 간 논의와 협의를 통해 대학별 학점교류, 교육과정 이수 조건, 성적평가 방법, 온라인 수업 인정 등에 대한 합의는 이뤄졌다. 하지만 교수진 교류, 학기제 운영, 학점 인정 제한 등 남은 과제들도 조속히 해결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산학연 연계와 협력이 강화되어야 한다. 신기술은 변화 사이클이 빨라 지금까지 전통적 교육 방식만으로는 현장에 필요한 실무역량을 갖춘 인재를 신속하게 양성하는 데 한계가 있다. 산학연 연계를 통해 기업과 연구소의 전문가가 함께 참여해 이론과 실험·실습을 병행하는 ‘문제기반학습’(Problem based learning)이 해법이 될 수 있다. 또 기업과 연구소 등에서 학생들의 인턴십 및 현장실습 기회 역시 확대되어야 한다.

 

‘아이 하나를 키우는 데 온 마을이 필요하다’란 외국 속담이 있다. 혁신공유대학 사업도 이처럼 참여 대학뿐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의 역량이 결집되어야 한다. 특히 인재 양성의 주관부처인 교육부를 중심으로 범정부 차원의 협업을 통한 전폭적 지원과 더불어 대학, 산업계, 연구계가 삼위일체가 되어 연계와 융합의 동력을 발산할 때 혁신공유대학 사업은 성공의 길로 나아갈 수 있다.

 

혁신공유대학 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는 2026년 이후 10만명 넘는 젊은 디지털 신기술 인재들이 반도체·미래자동차·인공지능 등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전략산업 분야에서 맹활약함으로써 대한민국의 산업 경쟁력은 높아지고 우리 국민의 미래 삶의 질은 크게 향상되는 날이 빨리 오기를 기대한다.

 

 

※ 게재한 콘텐츠(기사)는 언론사에 기고한 개인의 저작물로 국민대학교의 견해가 아님을 안내합니다.

※ 이 기사는 '뉴스콘텐츠 저작권 계약'으로 저작권을 확보하여 게재하였습니다.
 

제목 [기고] 디지털 신기술 인재 10만 양성을 위한 혁신공유대학 / 임홍재 총장 작성자 고은나라
작성일 22.03.02 조회수 846
첨부파일 국민대 총장.jpg (24.5 KB) 구분 학부공지

미래자동차는 기존의 단순한 이동수단을 넘어 친환경 전동화, 스마트 자율주행, 모빌리티 공유 기술을 바탕으로 각 분야가 서로 긴밀하게 초연결되는 미래 사회 구현을 가능케 하는 첨단산업 분야다. 기계 중심의 하드웨어뿐 아니라 전기·전자, 정보통신, 소프트웨어, 재료, 인간공학, 교통, 디자인, 경영, 법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문 간 융합이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산업구조가 재편되며 미래자동차를 비롯해 인공지능, 빅데이터, 차세대 반도체 등 신산업 분야 인재 수요도 늘고 있다. 정부의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은 여러 대학에 흩어진 신기술 분야 교육자원을 공동 활용하고 산업체·연구기관·학회·민간기관 등이 참여해 국가 수준의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것으로, 2021년부터 6년간 신기술 분야 핵심 인재 10만명 양성이 목표다.

 


임홍재 국민대 총장


이 사업이 성공하려면 기존 대학 사회가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과 제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신산업분야별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한 교과목을 표준화하면서 개별 대학이 갖는 인적·물적 한계를 다른 대학들의 강점으로 상호 보완할 수 있어야 한다. 교과목별 우수 콘텐츠를 공동 개발해 공유하고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온라인 콘텐츠 개발 및 교육 방법 개선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

 

둘째, 학사제도 운영의 유연성이 보다 폭넓게 보장되어야 한다. 혁신공유사업을 시작하면서 국립대와 사립대의 차이를 포함해 대학별 규정 및 제도가 달라 의견을 모으기가 쉽지 않았다. 참여 대학 간 논의와 협의를 통해 대학별 학점교류, 교육과정 이수 조건, 성적평가 방법, 온라인 수업 인정 등에 대한 합의는 이뤄졌다. 하지만 교수진 교류, 학기제 운영, 학점 인정 제한 등 남은 과제들도 조속히 해결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산학연 연계와 협력이 강화되어야 한다. 신기술은 변화 사이클이 빨라 지금까지 전통적 교육 방식만으로는 현장에 필요한 실무역량을 갖춘 인재를 신속하게 양성하는 데 한계가 있다. 산학연 연계를 통해 기업과 연구소의 전문가가 함께 참여해 이론과 실험·실습을 병행하는 ‘문제기반학습’(Problem based learning)이 해법이 될 수 있다. 또 기업과 연구소 등에서 학생들의 인턴십 및 현장실습 기회 역시 확대되어야 한다.

 

‘아이 하나를 키우는 데 온 마을이 필요하다’란 외국 속담이 있다. 혁신공유대학 사업도 이처럼 참여 대학뿐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의 역량이 결집되어야 한다. 특히 인재 양성의 주관부처인 교육부를 중심으로 범정부 차원의 협업을 통한 전폭적 지원과 더불어 대학, 산업계, 연구계가 삼위일체가 되어 연계와 융합의 동력을 발산할 때 혁신공유대학 사업은 성공의 길로 나아갈 수 있다.

 

혁신공유대학 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는 2026년 이후 10만명 넘는 젊은 디지털 신기술 인재들이 반도체·미래자동차·인공지능 등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전략산업 분야에서 맹활약함으로써 대한민국의 산업 경쟁력은 높아지고 우리 국민의 미래 삶의 질은 크게 향상되는 날이 빨리 오기를 기대한다.

 

 

※ 게재한 콘텐츠(기사)는 언론사에 기고한 개인의 저작물로 국민대학교의 견해가 아님을 안내합니다.

※ 이 기사는 '뉴스콘텐츠 저작권 계약'으로 저작권을 확보하여 게재하였습니다.